반응형
컴퓨터 작업, 스마트폰 사용, 가사노동 등 일상에서 손목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현대인에게 매우 흔한 질환이 손목터널증후군입니다. 특히, 40~60대 여성에게 빈번히 발생하며, 조기에 발견하지 못하면 손의 기능을 심각하게 잃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손목터널증후군의 초기 증상과 함께, 자가 진단법, 예방 및 치료 방법, 자주 묻는 질문을 정리해 시인성 좋고 한눈에 보이도록 구성했습니다.
목차
✅ 손목터널증후군 초기 증상
1. 손가락 끝 저림
- 특히 엄지, 검지, 중지, 약지 절반이 주로 저립니다.
- 새끼손가락에는 증상이 거의 없습니다. 이는 정중신경이 지배하지 않는 영역이기 때문입니다.
- 전기 오듯 찌릿한 느낌, 얼얼한 마비감이 반복되며 일시적으로 괜찮아졌다가 다시 증상이 나타나는 양상을 보입니다.
- 운전 중, 휴대폰 사용 시, 책을 들고 있을 때 등 손을 한 자세로 오래 두면 증상이 심해집니다.
2. 야간 통증과 저림
- 밤에 증상이 악화되며, 수면 중 손이 저려 자주 깨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손을 털거나 손목을 주무르면 일시적으로 호전되나, 다시 반복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 특히, 아침에 일어났을 때 손이 부은 듯하고 감각이 둔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3. 손에 힘이 빠짐
- 물건을 들고 있다가 갑자기 놓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합니다.
- 컵을 들 때 손에서 미끄러지는 느낌이 있으며, 이는 손의 감각 저하와 함께 근력 저하 때문입니다.
- 단추 채우기, 글씨 쓰기, 머리 빗기 등 섬세한 작업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4. 손목 통증 및 부기
- 손목 안쪽(수근관 부위)에 묵직하고 당기는 듯한 통증이 있으며, 눌렀을 때 민감한 반응이 나타납니다.
- 손목을 굽히거나 펴는 동작에서 불편감이 있고, 특히 손목을 비트는 동작에서 심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 가벼운 붓기와 함께 손등까지 통증이 퍼지기도 하며, 이로 인해 손 전체에 피로감이 느껴집니다.
5. 감각 이상 및 온도 변화 인식 저하
- 손끝 감각이 둔해져 뜨겁거나 차가운 물체에 대한 반응이 느려지며, 심할 경우 화상을 입는 위험도 있습니다.
- 특정 손가락에서 지속적으로 감각이 무뎌지거나 이물감, 쪼이는 듯한 감각을 느끼기도 합니다.
🔍 자가 진단 체크리스트 (팔렌 테스트 포함)
아래 질문에 3개 이상 ‘예’라고 답했다면 정형외과 방문을 추천합니다.
- 손이 자주 저리거나 감각이 무뎌진다.
- 밤에 손 저림 때문에 잠을 자주 깬다.
- 아침에 일어나면 손이 뻣뻣하다.
- 물건을 잘 떨어뜨린다.
- 손목을 꺾고 1분간 유지했을 때 손이 저리다. (팔렌 테스트)
🧘♀️ 예방과 관리법
1. 손목 사용 줄이기
- 키보드와 마우스는 손목이 꺾이지 않게 배치합니다.
- 스마트폰은 양손으로 사용하고 장시간 사용 자제.
2. 손목 스트레칭
- 매 시간 1~2분씩 손목 회전과 스트레칭 시행.
- 손을 하늘 보게 올린 후 반대손으로 손끝을 당기는 동작 추천.
3. 손목 보호대 착용
- 컴퓨터 작업 시 손목 보호대나 손목패드를 사용하세요.
- 수면 시 손목을 곧게 펴는 스플린트 사용도 효과적입니다.
4. 체형 개선
- 어깨와 등을 펴고 바른 자세로 앉기.
- 팔꿈치는 몸에 붙이고 손목은 중립 상태 유지.
💊 치료 방법
치료 방법 | 설명 |
약물치료 | 소염진통제, 스테로이드 경구 약물 처방. |
주사요법 | 스테로이드를 손목에 직접 주입해 염증 완화. |
물리치료 | 온열, 초음파 치료, 신경전기자극 등으로 증상 완화. |
수술치료 | 보존적 치료에 효과 없거나 증상이 심할 경우 신경 감압술 시행. |
초기에는 대부분 비수술적 치료만으로도 충분히 호전될 수 있습니다.
💡 자주 묻는 질문 (Q&A)
Q1. 손목터널증후군은 손목을 많이 쓰는 사람만 걸리나요?
A. 그렇지 않습니다. 당뇨, 갑상선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이 있는 사람도 위험이 높습니다.
Q2. 스트레칭만 해도 예방이 되나요?
A. 도움이 되지만, 자세 교정과 손목 사용을 줄이는 것이 함께 병행되어야 효과적입니다.
Q3. 저림이 심해도 수술을 꼭 해야 하나요?
A. 증상이 가벼운 경우에는 물리치료나 주사요법만으로도 호전될 수 있습니다.
📚 참고문헌
-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 바이오타임즈 - 손목터널증후군 조기 진단 중요성
- 메디칼업저버 - 손 저림 증상, 수근관 증후군 의심
- 국민건강보험공단 - 질병예방 안내
본 콘텐츠는 일반적인 정보 제공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전문의의 진단 및 치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VDT 증후군 증상 총정리|눈·목·손목 통증…당신도 예외 아님! (0) | 2025.03.29 |
---|---|
손목터널증후군 자가진단 방법과 초기증상 체크리스트 (0) | 2025.03.29 |
손목터널증후군 스트레칭: 매일 10분으로 통증 완화하는 꿀팁! (0) | 2025.03.28 |
손목터널증후군 치료법 총정리|이 증상, 참지 말고 이렇게 치료하세요! (0) | 2025.03.28 |
손목터널증후군 자가 치료법: 병원 가기 전 꼭 해보세요! (0)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