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본문 바로가기
건강

동시실인증: 보이지만 인식하지 못하는 시각 장애

2025. 3. 19.
반응형

우리는 하루에도 수많은 장면을 보고 인식하며 살아갑니다. 하지만 만약 개별적인 사물은 볼 수 있어도, 전체적인 장면을 동시에 파악하지 못한다면 어떨까요? 동시실인증(Simultanagnosia)은 바로 이런 증상을 보이는 시각적 인식 장애입니다. 이 글에서는 동시실인증의 원인, 증상, 진단 방법, 그리고 치료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동시실인증
동시실인증

목차


    ❓ 동시실인증이란?

    동시실인증은 하나의 사물은 볼 수 있지만, 여러 개의 사물을 동시에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풍경화 속에서 나무와 집이 함께 그려져 있어도, 한 번에 하나의 사물만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 증상은 주로 발터-부브람 증후군(Bálint's Syndrome)과 관련이 있으며, 뇌의 후두엽과 두정엽이 손상될 때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동시실인증동시실인증
    동시실인증


    🧠 원인과 발병 기전

    동시실인증은 뇌 손상에 의해 발생하며,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뇌졸중 → 후두-두정엽의 혈류 차단으로 인해 발생
    외상성 뇌손상(TBI) → 사고로 인해 두정엽과 후두엽이 손상될 경우
    신경퇴행성 질환 →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에서 동반될 가능성
    뇌종양 → 두정엽과 후두엽 부위에 위치한 종양이 시각 정보를 방해

    동시실인증동시실인증동시실인증
    동시실인증


    👀 주요 증상

    동시실인증 환자는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입니다.

     

    🔸 한 번에 한 가지 사물만 인식
    → 그림 속에 여러 개의 사물이 있어도 하나씩 따로 인식함.

     

    🔸 복잡한 장면에서 혼란
    → 사람들이 붐비는 거리에서 어디를 봐야 할지 모름.

     

    🔸 시각적 탐색 장애
    → 특정한 대상을 찾기 어려워하며, 주변 환경을 제대로 탐색하지 못함.

    동시실인증동시실인증동시실인증
    동시실인증


    🔬 진단과 검사 방법

    동시실인증은 신경학적 검사 및 심리 검사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 MRI 및 CT 스캔 → 후두엽 및 두정엽 손상 여부 확인
    🧩 신경심리학적 검사 → 시각적 인식 능력을 평가하는 NAVON Test 등 시행


    💡 치료 및 재활 방법

    동시실인증을 완치할 방법은 없지만, 재활치료와 인지훈련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 인지 재활 치료 → 점진적으로 시각 정보 처리 능력을 훈련
    ✔️ 시야 확장 훈련 → 주변 환경을 더 잘 탐색하는 훈련
    ✔️ 보완적 전략 사용 → 하나씩 차례로 인식하는 방식으로 적응

    동시실인증동시실인증동시실인증
    동시실인증


    🙋‍♂️ Q&A

    Q1. 동시실인증과 일반적인 시력 저하는 어떻게 다른가요?
    ✅ 동시실인증은 눈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입니다. 반면, 일반적인 시력 저하는 근시, 원시, 백내장 등 눈 자체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Q2. 동시실인증이 있으면 운전을 할 수 있나요?
    ✅ 대부분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여러 개의 사물을 동시에 인식하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운전 중 신호나 도로의 상황을 빠르게 파악하기 힘듭니다.

     

    Q3. 조기 진단이 중요한 이유는?
    ✅ 신경 재활 치료를 빨리 시작할수록 증상 완화 가능성이 높아지고, 일상생활 적응이 더 쉬워집니다.

    동시실인증동시실인증동시실인증
    동시실인증


    관련 방송 '지킬박사와 가이드'

    해당 관련 내용은 JTBC '지킬박사와 가이드'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JTBC '지킬박사와 가이드'는 매주 일요일 오전 9시 25분에 방송되는 건강 정보 프로그램입니다. JTBC 홈페이지와 TVING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지킬박사와 가이드

    2025. 03. 16. 133회 방송


    📚 참고문헌

    1. Balint, R. (1909). "Seelenlähmung des 'Schauens', optische Ataxie, räumliche Störung der Aufmerksamkeit." Monatsschrift für Psychiatrie und Neurologie, 25(1), 51-81.
    2. Farah, M. J. (2004). Visual Agnosia. MIT Press.
    3. Rizzo, M., & Hurtig, R. (1987). "Looking but not seeing: Attention, perception, and eye movements in simultanagnosia." Neurology, 37(10), 1642-1648.
    4. Riddoch, M. J., & Humphreys, G. W. (2004). Object Recognition in Simultanagnosia: Seeing but Not Understanding. Psychology Press.

    동시실인증은 단순한 시력 문제가 아니라 뇌의 시각 정보 처리 장애입니다. 적절한 검사와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일상생활에서 적응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이 글이 동시실인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본 콘텐츠는 일반적인 정보 제공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전문의의 진단 및 치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