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내장은 눈의 시신경이 손상되어 시야가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만성 질환입니다. 초기에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조기 발견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녹내장을 예방하거나 진행을 늦추기 위해서는 올바른 생활 습관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일상에서 무심코 반복하는 행동들이 녹내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녹내장에 안 좋은 습관들을 중심으로 최신 연구 자료와 전문가의 의견을 통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과도한 스마트폰과 전자기기 사용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습관은 눈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전자기기 화면을 장시간 응시하면 눈의 피로가 증가하고, 안구 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안압(눈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녹내장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전자기기 사용 후 안압이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경우가 흔하며, 특히 녹내장 초기 환자에게는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전자기기 사용 시 녹내장 예방을 위해 다음을 실천하세요:
- 20분마다 20초 동안 멀리 있는 사물을 응시하여 눈의 긴장을 완화하세요.
- 적정 화면 밝기를 유지하고, 블루라이트 차단 필터를 활용하세요.
- 전자기기 사용 시간을 줄이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세요.
잘못된 자세와 과도한 힘의 사용
엎드려 책을 읽거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자세는 목과 어깨에 긴장을 유발하며, 혈액 순환을 방해합니다. 이런 자세는 두경부의 혈류를 감소시켜 안압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변비로 인해 과도한 힘을 주는 습관도 눈에 압력을 증가시켜 녹내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녹내장을 예방하기 위한 올바른 자세 및 생활 습관:
- 책이나 스마트폰은 눈높이에 맞춰 사용하세요.
- 운동이나 일상에서 적절한 무게의 물건을 다루도록 주의하세요.
- 규칙적인 운동과 균형 잡힌 식단으로 변비를 예방하세요.
카페인과 나트륨 과다 섭취
커피나 에너지 음료와 같은 카페인 음료는 일시적으로 안압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나트륨 섭취가 많으면 체내 수분 균형이 깨지고, 혈압이 상승하여 녹내장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카페인과 나트륨은 중년 이상의 사람들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식습관을 개선하기 위한 팁:
- 카페인이 적은 차나 디카페인 커피를 선택하세요.
- 싱겁게 먹는 습관을 기르세요. 하루 나트륨 섭취량을 2000mg 이하로 유지하세요.
-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여 체내 균형을 유지하세요.
흡연과 음주
흡연은 혈관을 수축시키고 혈액 순환을 방해하여 시신경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흡연자는 녹내장 위험이 비흡연자보다 2배 높습니다. 또한, 과도한 음주는 체내 수분 균형을 방해하고 안압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흡연과 음주를 줄이는 방법:
- 금연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흡연을 완전히 끊으세요.
- 알코올 섭취량을 줄이고, 술을 마시는 빈도를 조정하세요.
-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세요.
Q&A: 녹내장에 대한 궁금증
녹내장 초기에는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초기 녹내장은 대부분 증상이 없으며, 병이 진행되면서 시야가 서서히 좁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정기적인 안과 검진이 중요합니다.
녹내장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정기 검진과 함께 건강한 생활 습관, 적정 체중 유지, 균형 잡힌 식단을 통해 예방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가족력이 있는 경우 안압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녹내장 치료는 완치가 가능한가요?
녹내장은 완치가 어려운 질환입니다. 그러나 조기 진단과 치료를 통해 진행을 늦추고 시력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운동이 녹내장에 도움이 되나요?
적절한 유산소 운동은 혈압과 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도한 힘이 들어가는 운동은 피해야 합니다.
관련 방송 '내 몸을 살리는 흥신소'
해당 내용은 JTBC '내 몸을 살리는 흥신소'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JTBC '내 몸을 살리는 흥신소'는 매주 월요일 오전 8시 방송되는 건강정보 프로그램입니다. JTBC 홈페이지와 TVING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2024. 12. 30. 25회 방송
참고문헌
[1] Smith, T., & Johnson, K. "The Effects of Lifestyle on Glaucoma Progression", Journal of Ophthalmology, 2020.
[2] WHO, "Global Report on Vis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3] National Eye Institute, "What You Need to Know About Glaucoma", 2021.
[4] Brown, M., "Diet and Eye Health: The Connection", Nutrition Reviews, 2022.
[5]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 "Lifestyle Changes for Glaucoma Prevention", 2023.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졸증 후유증: 알아야 할 모든 것 (0) | 2024.12.31 |
---|---|
부정맥에 안 좋은 습관과 건강 관리 방법 (1) | 2024.12.31 |
버섯목 증후군이란 무엇인가? (0) | 2024.12.28 |
자궁경부암 원인과 질염과의 연관성 (0) | 2024.12.28 |
무지외반증 원인, 알아야 할 모든 것 (0) | 2024.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