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본문 바로가기
건강

손목터널증후군 증상 및 예방법 총정리

2025. 3. 28.
반응형

손목터널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은 손목 부위의 수근관(손목터널)을 지나가는 정중신경이 압박되면서 발생하는 신경 장애입니다. 이 정중신경은 엄지부터 약지 절반까지의 감각과 일부 손 움직임을 담당합니다. 수근관 내부의 공간이 좁아지거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신경이 눌리며 다양한 감각 이상과 운동 기능 저하 증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특히 컴퓨터, 스마트폰 사용이 많은 현대인, 가사노동이 잦은 중장년 여성, 또는 반복적인 손목 사용을 하는 직군(요리사, 미용사 등)에게 자주 발생합니다. 방치 시에는 영구적인 신경 손상까지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예방이 중요합니다.

손목터널증후군 증상
손목터널증후군 증상

목차


    ❗ 주요 증상 정리

    • 손가락 저림 및 감각 이상
      주로 엄지, 검지, 중지, 약지 일부에서 저림 현상이나 감각이 둔해지는 느낌이 나타납니다. 새끼손가락은 정중신경이 아닌 척골신경 지배를 받기 때문에 저림 증상이 없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 야간 통증
      증상이 심해질 경우 야간에 손이 저려서 잠을 자다가 깨어날 정도의 통증을 유발합니다. 팔을 흔들어야 완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면 중에 손목이 구부러지는 자세가 통증을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 손의 힘 약화
      물건을 자주 놓치거나, 단추를 채우거나 지퍼를 여는 등 세밀한 손 동작이 어려워집니다. 이는 운동신경 기능이 약화된 결과로 악력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습니다.

     

    • 화끈거림 및 작열감
      일부 환자들은 단순한 저림을 넘어서 화끈거리거나 찌릿찌릿한 느낌, 또는 날카로운 전기 자극 같은 통증을 느낍니다.

     

    • 아침 손 경직
      수면 중 손목이 구부러진 채로 오래 유지되면 아침에 손이 뻣뻣하고 굳은 듯한 느낌이 들 수 있으며, 이를 반복하면 관절 경직과 손 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방사통
      통증이 손목에서 끝나지 않고, 팔과 어깨, 심지어 목까지 퍼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정중신경 경로를 따라 통증이 확산되기 때문입니다.

    손목터널증후군 증상손목터널증후군 증상손목터널증후군 증상
    손목터널증후군 증상


    🔎 주요 원인

    • 반복적인 손목 사용
      장시간 마우스 사용, 스마트폰 타이핑, 요리, 청소, 수작업 등이 수근관 내부 압력을 지속적으로 증가시켜 정중신경을 자극합니다.

     

    • 임신 및 호르몬 변화
      임신 중에는 체내 수분이 증가하면서 조직이 부어오르고, 수근관 내부 공간이 좁아져 정중신경이 압박될 수 있습니다. 이는 출산 후 호전되기도 하지만, 지속될 경우 치료가 필요합니다.

     

    • 만성 질환과 전신 질환
      당뇨병, 갑상선 기능저하증, 류마티스 관절염 등은 신경과 조직에 염증 또는 변화를 일으켜 손목터널증후군의 원인이 됩니다.

     

    • 외상 및 골절
      손목 뼈가 부러지거나 손상되었을 경우, 수근관 구조가 변형되어 신경을 압박할 수 있습니다. 수술 후 발생하는 유착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비만 및 부종
      과체중은 손목에 가해지는 하중을 증가시키고, 조직 부종으로 인해 수근관 내부 공간이 더 좁아질 수 있습니다.

    손목터널증후군 증상손목터널증후군 증상손목터널증후군 증상
    손목터널증후군 증상


    🧪 진단 방법

    • Tinel’s 사인 검사
      손목을 가볍게 두드려 저림이나 전기 자극 같은 느낌이 들면 양성입니다.

     

    • Phalen’s 검사
      손등을 맞대고 손목을 아래로 꺾은 자세로 60초 이상 유지했을 때 저림이 발생하면 손목터널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 신경전도검사(NCV)
      정중신경을 따라 전기 자극을 전달하여, 신경전달속도나 반응 시간을 측정합니다.

     

    • 근전도검사(EMG)
      정중신경이 지배하는 근육의 전기적 활동을 분석하여 신경 손상 정도를 평가합니다.

    손목터널증후군 증상손목터널증후군 증상손목터널증후군 증상
    손목터널증후군 증상


    💊 치료 방법

    📌 비수술적 치료

    • 약물치료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로 염증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합니다.
    • 부목(손목 보호대)
      특히 야간 착용 시 통증 완화 효과가 크며, 손목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방지합니다.
    • 주사 치료
      손목 부위에 스테로이드 주사를 직접 주입해 염증을 감소시키고 증상을 일시적으로 완화합니다.
    • 물리치료 및 스트레칭
      온찜질, 전기 자극 치료, 초음파 치료 등이 사용됩니다. 손목 스트레칭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합니다.

     

    📌 수술적 치료

    비수술적 치료에도 6개월 이상 효과가 없거나, 손 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된 경우에는 수술을 고려합니다. 가장 흔한 수술은 수근관 감압술(손목터널을 여는 수술)로, 10~30분 이내의 짧은 시술입니다. 회복 기간은 개인차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2주~6주 이내 일상 복귀가 가능합니다.

    손목터널증후군 증상손목터널증후군 증상
    손목터널증후군 증상


    🛡 예방법

    • 바른 손목 자세 유지
      손목을 꺾지 않고, 가능한 중립 자세 유지. 키보드, 마우스 높이를 조절하여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합니다.

     

    • 주기적인 손 스트레칭
      업무 중 틈틈이 손가락과 손목 스트레칭을 하여 근육 긴장을 풀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무거운 물건 들 때 손목 사용 주의
      특히 손목을 비트는 동작은 피하고, 팔 전체로 힘을 분산시켜 사용합니다.

     

    • 생활 습관 개선
      비만 관리, 적절한 운동, 충분한 수면 등을 통해 신체 전반의 건강을 지키는 것이 손목 건강에도 중요합니다.

    손목터널증후군 증상손목터널증후군 증상손목터널증후군 증상
    손목터널증후군 증상


    ❓ Q&A

    Q1. 손목 저림이 항상 손목터널증후군인가요?
    A. 아닙니다. 목디스크, 척골신경 포착증후군, 말초신경염 등도 유사 증상을 보일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Q2. 손목 보호대는 언제 착용하는 것이 좋나요?
    A. 야간 통증이 있을 때 착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수면 중 손목이 구부러지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Q3. 수술하면 재발하지 않나요?
    A. 대부분 재발률은 낮지만, 생활습관 개선이 병행되지 않으면 다시 발생할 수 있습니다.

     

    Q4. 예방을 위해 어떤 운동이 도움이 되나요?
    A. 손목 회전 운동, 손가락 폈다 쥐기, 팔을 쭉 뻗고 손바닥을 펴는 스트레칭 등이 효과적입니다.

    손목터널증후군 증상손목터널증후군 증상손목터널증후군 증상
    손목터널증후군 증상


    📚 참고문헌

    •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amc.seoul.kr
    •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정보센터
    • 보건복지부 건강백서
    • 대한정형외과학회 공식 자료

    본 콘텐츠는 일반적인 정보 제공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전문의의 진단 및 치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